
실버세대란 6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 비율이 7%미만인 세대를 의미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1955년~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들이 해당됩니다. 이처럼 은퇴시기가 다가오면서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고있는데요,
특히나 노인빈곤율이 높은 국가일수록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있습니다.
OECD국가중에서도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있는 대한민국.. 과연 어떻게 대비해야할까요?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이 왜 이렇게 높을까요?
노인빈곤율이란 전체 가구 소득 중위값의 절반 이하(50%) 수준이면서 자산 하위 40% 미만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즉, 돈과 재산이 적은 사람들을 말하는데요,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무려 45.7%로 2명중 1명이 빈곤층이라는 뜻입니다.
물론 다른 나라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이지만, 아직까지도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노후대비 방법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가장 대표적인 노후대비 방법으로는 연금저축보험 가입이 있습니다. 국민연금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노후자금을 개인연금상품을 통해 보완할 수 있으며, 세액공제 혜택 또한 받을 수 있어서 일석이조라고 할 수 있죠.
이외에도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안정성 측면에선 역시 연금저축보험만한 상품이 없다고 보여집니다.

개인연금 종류로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대표적인 개인연금으론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연금저축보험이고,
두번째는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연금저축펀드입니다.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시는게 좋은데요,
먼저 연금저축보험은 공시이율형 상품으로 금리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대신 최저보증이율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펀드투자 비중이 높지 않아 수익률 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구요. 반대로 연금저축펀드는 주식비중이 높아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가진 분들에게 적합하며, 시장상황에 따라 적극적인 리밸런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원금손실 리스크가 있으니 주의해야겠죠?
지금까지 '실버 쓰나미'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았는데요, 저도 이번 기회에 조사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이 많아서 유익했습니다. 여러분들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식,행사,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자기 계발을 위한 아이디어 15가지! (3) | 2023.03.10 |
---|---|
UAM(Urban Air Mobility) 기술 이 뭐예요? (0) | 2023.03.10 |
인류의 식량부족 문제 어떻게 해야될까? (0) | 2023.03.08 |
신선하고 맛있는 생선회, 언제부터 먹었을까?생선회의 역사! (2) | 2023.03.07 |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과 특징 및 효과 (0) | 2023.03.06 |